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경상북도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





1. 종합 결과
2. 지역별
2.2. 경주시장
2.3. 김천시장
2.4. 안동시장
2.6. 영주시장
2.7. 영천시장
2.8. 상주시장
2.9. 문경시장
2.10. 경산시장
2.12. 의성군수
2.13. 청송군수
2.14. 영양군수
2.15. 영덕군수
2.16. 청도군수
2.17. 고령군수
2.18. 성주군수
2.19. 칠곡군수
2.20. 예천군수
2.21. 봉화군수
2.22. 울진군수
2.23. 울릉군수


1. 종합 결과[편집]


정원
23
기호정당의석수
(비율)
후보수
1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0석
(0%)
8
2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석[1]
(87.0%)
23
-
무소속

3석
(13.0%)
-

지난 지방선거 때 더불어민주당은 의성군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후보자를 전부 냈지만, 이번엔 8개 지역에서만 후보를 냄으로써 경북 지역에서 세가 위축 된 것이 확연히 드러났다. 그나마 민주당 후보가 출마한 지역에서도 당선은 커녕 30%를 넘게 득표한 곳이 없었다.

한편 예천군수로 출마한 국민의힘 김학동 후보는 무투표 당선되었으며 울릉군군위군은 이번 지선에서 전국 최고 투표율 1, 2위를 각각 기록하였다.


2. 지역별[편집]



2.1. 포항시장[편집]


{+1 [[파일:포항시 CI_White.svg}}} 포항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성찬(劉聖贊)43,599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2.79%낙선
2이강덕(李康德)147,663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77.20%당선
선거인 수427,687투표율
45.88%
투표 수196,239
무효표 수4,977

현역 시장이자 당선인인 이강덕 후보는 무려 77.20%를 받아서 포항시장 역대 최고 득표율을 갱신했다. 다만 8천표 차이로 최다 득표수는 갱신하지 못했다.[2]


2.2. 경주시장[편집]


{+1 [[파일:경주시 CI_White.svg}}} 경주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한영태(韓永泰)22,483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1.13%낙선
2주낙영(朱落榮)83,911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78.86%당선
선거인 수220,490투표율
49.73%
투표 수109,649
무효표 수3,255

저번 지방선거와 달리 양당 구도로 치러졌고, 결과도 주낙영 후보가 78.86%을 받으며 무난히 승리를 거뒀다.


2.3. 김천시장[편집]


{+1 [[파일:김천시 CI_White.svg}}} 김천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김충섭(金忠燮)48,387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75.06%당선
4이성룡(李性龍)3,1214위

무소속

4.84%낙선
5서범석(徐範石)5,5883위

무소속

8.66%낙선
6이선명(李善明)7,3642위

무소속

11.42%낙선
선거인 수120,471투표율
55.85%
투표 수67,279
무효표 수2,819

지난 지선에서는 무소속으로 도전하여 과반이 살짝 넘는 득표율로 당선되었던 현임 김충섭 시장은 높은 시정 평가와 더불어 국민의힘 공천장을 거머쥐며 친여 무소속 후보들이 난립하였음에도 75%가 넘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2.4. 안동시장[편집]


{+1 [[파일:안동시 CI_White.svg}}} 안동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위한(金渭漢)12,7793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7.66%낙선
2권기창(權奇菖)46,315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64.03%당선
4정훈선(鄭薰善)13,2332위

무소속

18.29%낙선
선거인 수135,862투표율
54.9%
투표 수74,554
무효표 수2,227

지난 지선에서는 무소속 현직 시장 권영세에게 패배한 권기창 후보였지만 시장 도전 재수 끝에 당선장을 거머쥐었다.


2.5. 구미시장[편집]


{+1 [[파일:구미시 CI_White.svg}}} 구미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장세용(張世龍)38,196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6.91%낙선
2김장호(金璋鎬)99,751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70.39%당선
4김중천(金中千)1,5524위

무소속

1.09%낙선
5김기훈(金圻勳)2,4063위
1.59%낙선
선거인 수337,510투표율
42.84%
투표 수144,577
무효표 수2,672

경북도 고위공무원 출신인 국민의힘 김장호 후보가 현직 시장인 더불어민주당 장세용 후보를 압도적인 격차로 싱겁게 누르고, 4년 만에 보수 정당이 시장 자리를 탈환하였다. 결국 처참한 득표로 낙선한 장세용 전 시장은 이후 정계 은퇴 선언하였다.


2.6. 영주시장[편집]


{+1 [[파일:영주시 CI_White.svg}}} 영주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박남서(朴南緖)28,4101위
52.21%당선
4황병직(黃炳稙)26,0002위
47.78%낙선
선거인 수89,061투표율
63.2%
투표 수56,300
무효표 수1,890


2.7. 영천시장[편집]


{+1 [[파일:영천시 CI_White.svg}}} 영천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박영환(朴英煥)22,0342위
43.80%낙선
4이정호(李正鎬)1,3883위
2.75%낙선
5최기문(崔圻文)26,8811위
53.43%당선
선거인 수90,932투표율
56.9%
투표 수51,711
무효표 수1,408

최기문 현 시장이 높은 시정 평가를 받고 있기에 무소속임에도 불구하고 국민의힘의 공천을 받은 박영환 전 도의원을 상대로 10%정도 격차를 벌리며 무난하게 승리하였다.


2.8. 상주시장[편집]


{+1 [[파일:상주시 CI_White.svg}}} 상주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조원희(趙愿熙)6,7883위
13.14%낙선
2강영석(姜永錫)35,1361위
68.05%당선
5정재현(鄭在賢)9,7082위
18.80%낙선
선거인 수84.980투표율
64.0%
투표 수54,372
무효표 수2,740


2.9. 문경시장[편집]


{+1 [[파일:문경시 CI(2002-2023)_White.svg}}} 문경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신현국(申鉉國)21,3941위
54.69%당선
4강수돈(姜秀暾)2,3123위
5.91%낙선
5채홍호(蔡鴻浩)15,4072위
39.39%낙선
선거인 수64,160투표율
62.9%
투표 수40,384
무효표 수1,271

당초 국민의힘에서 컷오프 되어 무소속으로 출마한 채홍호 전 대구 부시장과 강수돈 전 삼성물산 전무간의 단일화가 예상되었으나 각자 완주하면서 국민의힘의 공천을 받은 신현국 전 시장이 무난히 당선되었다.


2.10. 경산시장[편집]


{+1 [[파일:경산시 CI_White.svg}}} 경산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조현일(趙顯逸)52,2731위
53.87%당선
4오세혁(吳世赫)44,7602위
46.12%낙선
선거인 수230,676투표율
43.38%
투표 수100,057
무효표 수3,024


2.11. 군위군수[편집]


{+1 [[파일:군위군 CI_White.svg}}} 군위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김진열(金鎭烈)8,7281위
50.31%당선
4김영만(金瑛晩)8,6192위
49.68%낙선
선거인 수22,054투표율
80.94%
투표 수17,851
무효표 수504

이번 지방선거 기초자치단체장 중 최소 표차인 109표차로 국민의힘의 공천을 받은 김진열 후보가 현직 군위군수인 무소속 김영만 후보를 상대로 신승을 거두며 당선되었다.


2.12. 의성군수[편집]


{+1 [[파일:의성군 CI_White.svg}}} 의성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이영훈(李英勳)9,6142위
28.72%낙선
4김주수(金周秀)23,8591위
71.27%당선
선거인 수47,168투표율
74.1%
투표 수34,935
무효표 수1,462

재선 의성군수를 지낸 현임 김주수 군수가 탈당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하였음에도 불구하고 70%를 넘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며 3선에 성공하였다.


2.13. 청송군수[편집]


{+1 [[파일:청송군 CI_White.svg}}} 청송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윤경희(尹敬熙)10,4011위
63.49%당선
4배대윤(裵大潤)5,9812위
36.50%낙선
선거인 수22,790투표율
73.9%
투표 수16,847
무효표 수465


2.14. 영양군수[편집]


{+1 [[파일:영양군 CI_White.svg}}} 영양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상선(金相墡)2,0432위
18.49%낙선
2오도창(吳道昌)9,0011위
81.50%당선
선거인 수14,920투표율
77.3%
투표 수11,531
무효표 수487


2.15. 영덕군수[편집]


{+1 [[파일:영덕군 CI_White.svg}}} 영덕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김광열(金光㤠)16,4751위
80.58%당선
4박병일(朴秉一)3,9692위
19.41%낙선
선거인 수32,124투표율
67.1%
투표 수21,566
무효표 수1,122


2.16. 청도군수[편집]


{+1 [[파일:청도군 CI_White.svg}}} 청도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김하수(金河洙)14,8781위
56.12%당선
4박권현(朴權鉉)11,6292위
43.87%낙선
선거인 수38,574투표율
70.8%
투표 수27,320
무효표 수813


2.17. 고령군수[편집]


{+1 [[파일:고령군 CI_White.svg}}} 고령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이남철(李楠喆)7,113표1위
42.10%당선
4임욱강(林煜剛)5,518표2위
32.66%낙선
5박정현(朴政炫)4,261표3위
25.22%낙선
선거인 수27,757투표율
62.8%
투표 수17,421표
무효표 수529표


2.18. 성주군수[편집]


{+1 [[파일:성주군 CI_White.svg}}} 성주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이병환(李炳桓)13,1121위
51.10%당선
4전화식(全和植)12,5472위
48.89%낙선
선거인 수39,451투표율
67.5%
투표 수26,638
무효표 수979


2.19. 칠곡군수[편집]


{+1 [[파일:칠곡군 CI_White.svg}}} 칠곡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장세호(張世浩)10,0142위
24.38%낙선
2김재욱(金載昱)25,8691위
62.98%당선
4김창규(金倉圭)5,1873위
12.62%낙선
선거인 수96,081투표율
43.7%
투표 수41,975
무효표 수905

전직 경북도의원 출신인 김창규 후보가 경선에서 탈락 후 탈당하여 무소속으로 출마하는 변수가 생겼지만 국민의힘 공천장을 거머쥔 김재욱 후보가 과반이 넘는 득표율로 무난하게 당선되었다.


2.20. 예천군수[편집]


{+1 [[파일:예천군 CI_White.svg}}} 예천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김학동(金學東)무투표당선

경상북도의 유일한 무투표 당선자다.


2.21. 봉화군수[편집]


{+1 [[파일:봉화군 CI_White.svg}}} 봉화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남수(金南洙)2,6952위
14.78%낙선
2박현국(朴賢國)13,3751위
73.40%당선
4이봉진(李奉珍)2,1523위
11.80%낙선
선거인 수27,996투표율
67.4%
투표 수18,883
무효표 수661


2.22. 울진군수[편집]


{+1 [[파일:울진군 CI_White.svg}}} 울진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손병복(孫炳福)16,3261위
59.94%당선
4황이주(黃利珠)10,9082위
40.05%낙선
선거인 수42,063투표율
67.3%
투표 수28,317
무효표 수1,083

재선 경북도의원 출신의 무소속 황이주 후보와 국민의힘 공천장을 따낸 손병복 후보의 1:1 대결이 이루어졌다. 개표 결과 황이주 후보는 출생지인 평해읍과 후포면 2곳에서만 우위를 보였을 뿐 기타 지역에서는 모두 패하며 국민의힘 손병복 후보의 낙승으로 끝났다.


2.23. 울릉군수[편집]


{+1 [[파일:울릉군 CI_White.svg}}} 울릉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정성환(鄭成煥)2,0112위
30.28%낙선
4남한권(南漢權)4,6291위
69.71%당선
선거인 수8,339투표율
81.5%[3]
투표 수6,796
무효표 수156

전국 최고 투표율이 나온 지역이다. 그리고 결과는 무소속 남한권 후보가 70%에 육박하는 득표율을 얻으며 지난 지선에서의 대패를 딛고 설욕에 성공했다.


[1] 무투표 당선 1석 포함[2] 역대 포항시장 최다 득표는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박승호가 기록한 155,248표이다.[3] 전국 최고 투표율